사진. 홍진훤
소설. 김연수
초판 발행. 2017년 4월 16일
발행부수. 500부
사진. 56장
면수. 104쪽
크기. 210(w) x 280(h) x 8(d) mm
제본. 미싱 제본 + 오타바인딩
기획 및 편집. 전가경
디자인. 정재완
제작. 문성인쇄

이 책은 홍진훤의 사진 연작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와 김연수의 단편 소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를 엮은 사진 소설이다.
2014년 4월 16일 오전, 인천을 떠나 제주도로 향하던 여객선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했다.
이 사고로 수학여행을 가던 안산 단원고 학생 250명과 선생님 12명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되었다.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는 학생들의 수학여행 일정표에 나와있는 장소를 홍진훤이 찾아다니며 기록한 작업이다.

보안책방 한권서점 연계전시 주석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에 부쳐

보안서점 한권책방 연계 전시 주석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는 책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사월의눈, 2017; 이하 『아무도 다만』)에서 출발한다. 『아무도 다만』은 홍진훤 사진가의 사진연작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와 김연수 소설가의 단편소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를 하나로 엮은 사진소설이다. 전시는 책 『아무도 다만』의 뒤붙이(backmatter), 그러니까 책의 주변부라 할 수 있는 ‘주석(notes)’을 소재로 한다. 김연수는 소설 본문에서 일곱 개의 주석을 제시했다. 산문, 음반, 작품집 등이 주석이라는 이름으로 모였다. 일곱 개의 주석에 홍진훤은 각 주석에 호응하는 사진들―일종의 사진적 주석―을 선별했다. 이어서 사월의눈 북디자이너 정재완은 일곱 개의 소설 주석을 주석 포스터라는 매체로 변환했다. 글, 사진 그리고 포스터; 세 가지 상이한 장르는 『아무도 다만』의 주석으로서 전시장 일곱 개의 공간에 배치된다. 각각의 방은 독립적인 주석의 방으로 기능한다. 주석의 출발이 되는 책 『아무도 다만』, 포스터로 재해석된 소설가의 주석,그 주석에 대한 사진가의 반응인 사진과 영상. 매체는 서로를 보완하거나 침투하며 『아무도 다만』이라는 사진소설 밑바닥에 깔려 있는 주제 하나를 소환해 낸다. 바로 세월호이다. 〈주석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 전시는 암시에서 명시로의 전환이다. 사진소설 『아무도 다만』이 세월호를 암시한다면, 주석은 세월호를 명시한다. 주석은 책의 수면 위로 책의 주제인 세월호 참사를 인양했다. 전시장에 개별 요소로 분포된 주석들은 보안책방 한권서점으로 전시공간이 이동하면서 한 권의 작은 책자로 수렴된다. 노랑색 표지의 『주석 ‘아무도 대답하지 않았다 다만 한 사람을 기억하네’』, 이 책자는 주석을 통해 보는 책 『아무도 다만』의 사진텍스트적 부속물이자, 참여작가들의 소리 없는 코멘터리이다. 무엇보다 이것은 세월호 참사라는 2014년 봄의 재난을 2017년 여름에 기억하는 또 하나의 방식이다.
사월의눈 전가경